백림의 길에서, 2편 1장 어떤 달리기는 분憤에 대한 도전

‘호수의 땅’ 수오미에서 백림에 발을 딛는 여정만큼이나 평화로운 순간이 있었을까. 사실 골인 지점의 쾌락보다 덜하겠지만 ‘포, 차 떼’고 생각하면 사실상 3박 5일 일정 중 심신의 평화가 유일한 때였다.

9월의 항공료를 7월에 냈다. 뮌헨으로 입국해 백림을 거쳐 헝가리 부다페스트시를 가치는 일정은 동유럽의 낭만을 개척하는 쾌미를 얻고자 하는 작은 욕심이었다. 그러나 바쁜 일상을 탈출하고 얻으려 했던 그것은, 이미 휴가 결제까지 끝난 마당에 중간에 소속 부서의 변경으로 차질을 빚게 됐다.

사실 변경된 부서의 부장은 전에도 내가 모신 바 있는 어른이기에 적응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게다가 “나 어릴 때는”이나 “기자가 되서 말이야”같은 말을 뱉는 분도 아닌 탓에 소위 ‘쿨하’게 휴가를 떠나도 무방했을 것이다. 그러나 개인사를 비롯해, 이어지는 명절까지 생각하면 1달 동안 5~10일 정도 밖에 근무하지 않은 상태에서 업무를 ‘완전히 새로’ 파악해야 하는 상황이 못내 부담스러웠고, 팀의 최선임으로 옮겨가는 자리인 만큼 무게감도 나를 누르고 있는 까닭에 일정은 반토막으로 축소했던 것이다.

수수료로 20여만원, 숙소를 취소하며 다시 5만원, 독일 국내선은 취소조차 안 돼서 수 만 원이 말 그대로 ‘공중에 붕 떴’고 다시 비행편을 알아봐야 할지 가까운 곳으로 고민의 시간이 있었다. 물가가 저렴한 인근 국가로 여행을 간다면 시차도 없을 뿐더러 풍요롭게 먹고 쓸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반짝 닷새의 독일행은 결정 직전까지 매분 매초 계속됐다.

물론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몸상태가 훨씬 큰 고려대상이었다. 마지막 마라톤을 뛴 뒤 10kg이 넘게 살이 찐 상태에, 멈추지 않았지만 15km 이상 중장거리를 뛴 것도 대회를 제외하고는 추억의 안갯속에 있던 터다. 사실상 연습없는 초심자의 몸상태가 거울 앞에 서 있었다. 툭 튀어나온 배와 가슴, 햄처럼 둥그렇게 퍼진 다리, 근육 없는 몸. 때때로 6to9(cf. 9to6)로 일을 하는 삶 속 달리기는 분憤에 대한 도전일 뿐 어떤 회복도 위로도 기쁨도 감동도 되지 못했기에 도로에 몸을 던지는 것처럼 느껴질 게 뻔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시간이 없었다. 기회도 없었고, ‘앞으로’는 더욱더 없었기에 나는 움츠렸던 과감을 주저없이 여기에 던졌다.

기쁨의 고민

출근과 퇴근을 사랑한다. 이 기억은 쉽게 잊힐 찰나들. 아침 첫 땀 냄새를 맡게 되는 지하철, 오래 부는 바람, 서서 아니면 앉아서 보는 매일 같지만 다른 풍경.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의 표정을 구경하다가 들어서는 단단하고 삭막한 건물. 그리고 이제 머리로 의심과 의식으로 시작하는 어떤 시간들. 밥을 먹고 커피나 물을 마시는 시간까지 분초는 짜인 연극처럼 우리는 녹봉祿俸에 대한 가치를 쌓고 거둔다.

그러나 때로 그 기쁨은 형체를 알 수 없는 권력 관계에 종속된다. 이를테면 끊임없는 알람이나 멈추지 않는 진동, 아니면 남의 고통에 대한 희망. 우리는 어디까지 사람이었고 어떤 글과 사실에 감동을 팔아버린 것인가. 일과 삶은 사람에 의해 설계되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그 어떤 영악의 굴레를 우리는 사는 것인지. 오래된 이들의 글을 뒤지다 깊게 숨을 쉬었다.

오래전 부산의 해운대의 한 호텔에서 서빙을 한 적 있다. 하루에 연회나 포럼, 결혼식이 몇 건 있든지 오만 팔천원을 줬고 너무 뻔한 반복의 일상이라 쉽게 돈을 벌 것 같아 지원한 일에도 정치와 경제, 산업과 종교가 돌아갔다. 지방의 대학을 다니다 일당 받는 일상이 행복해 학교를 그만두고 아예 이 업계로 뛰어들었다는 ‘캡틴'(Captain)은 “모든 곳에서 행복을 느낀다”며 “무례한 손님과 다툼도 게임처럼 다루라”고 말했는데, 오늘따라 그의 그 말이 생각난다. 먼 바다를 바라보며 담배를 피우던 그의 담뱃갑에는 ‘클라우드 나인'(Cloud nine)이 적어져 있었는데. 오, 단테여. 오, 단테여.

어떤 가을의 밤, 어떤 삶을 기록하다가 짧게 써본다.

지구는 돌고 계속되는 우주 비행. 우리는 어느 별로 가고 있을까, 삶이여.